법에대한 관찰 Dhammanupassana | |
---|---|
작성자 : 관리자 / 등록일 : 2014-02-18 / 조회수 : 1211 | |
< 법에 대한 관찰Dhammanupassana > 부처님께서는 대념처경에서 관찰대상을 네 가지로 나누어 말씀하셨습 니다. 그 네 가지는 몸에 대한 관찰인 가야누빠사나, 주의 깊게 관찰해 야 하는 의미 있는 느낌에 대한 관찰인 웨다나누빠사나, 존재들로 하 여금 모든 것을 하게 하는 의식에 대한 관찰인 찌따누빠사나, 그리고 알아차려야 할 모든 본성들에 대한 관찰인 담마누빠사나입니다.
통찰 명상을 할 때 관찰해야 할 대상은 간단하게 마음과 물질 두 가지 로 요약될 수 있습니다. 가야누빠사나는 지혜로 마음챙김을 하여 관찰 하는 ‘루빠빠리가하’라는 물질입니다. 웨다나누빠사나와 찌따누빠사나 는 ‘나마빠리가하’라는 마음입니다. 그리고 담마누빠사나는 마음과 물 질의 복합체입니다.
다른 방식으로, 통찰 명상으로 관찰하는 오온에 관해 말하자면, 물질 에 대한 것은 가야누빠사나, 느낌에 대한 것은 웨다나누빠사나, 의식 에 대한 것은 찌따누바사나 그리고 인식과 주어진 조건들에 대한 관찰 은 담마누빠사나입니다.
그리고 또 다른 두 가지 관찰방식이 있는데, 그 첫 번째인 ‘루빠빠리가 하’는 모든 형상의 본성을 마음챙김으로 관찰하고 통찰 지식으로 완벽 하게 알아차리는 것이며, 두 번째의 ‘나마빠리가하’는 모든 마음의 본 성들을 마음챙김으로 관찰하고 통찰지식으로 완벽하게 깨닫는 것입니 다.
위빠사나 명상을 할 때는 실제의 마음과 물질이 관찰되어야 합니다. 그렇다면 어떤 다른 비현실적인 문제들도 있을까요? 그렇습니다. 물질 은 두 가지로 분류되는데 구체적으로 생성된 물질인 ‘니빠나나루빠’와 구체적이지 않은 물질인 ‘아니빠나루빠’가 있습니다. ‘니빠나루빠’는 업, 의식, 온도 자양물과 같이 갖가지 원인들과 연관되어 생성된 것입 니다. ‘아니빠나루빠’는 네 가지 근원적인 형태들로부터 생산되지는 않 았지만 ‘니빠나루빠’와 연관되어 있습니다. 이 두 가지 중에서 구체적 으로 생성된 물질인 ‘니빠나루빠’만이 통찰 명상(위빠사나)의 대상으 로 유일하게 관찰될 수 있습니다.
‘나마빠리가하’에서 의식은 통찰 명상의 대상입니다. 즉, 출세간적 마 음이 아닌 세간적인 마음만이 대상이 되는 것입니다. 논평에 따르면 윤회의 고통과 관련된 본성은 관찰되어야 한다고 했습니다. 출세간의 의식과 열반(닙바나)은 관찰해서는 안 됩니다. 그것들은 통찰 명상의 대상이 아닙니다.
명상을 할 때 그 대상들은 마음챙김으로 관찰하고, 지식으로 분석되 고, 깨달아야 하며 집중력으로 균형을 이뤄야 합니다. 이런 식으로 본 성들의 능력을 이해해야 합니다.
*법에 대한 관찰에 있어서 다섯 가지 대상들
대념처경에는 21가지의 명상 대상들이 나와 있습니다. 즉, 몸에 대한 관찰 14가지, 느낌의 대상들을 하나, 언급된 마음의 대상들 역시 하나, 법에 대한 관찰의 대상 5가지 등, 이 모두를 합치면 21가지가 됩니 다.
또 다른 분류 방식도 있는데, 즉, 명상대상을 몸에 대한 관찰 14가지. 느낌에 관한 관찰 방식 9가지, 마음에 관한 관찰 16가지, 법에 관한 관 찰 5가지, 이렇게 그 수를 모두 합치면 44가지가 됩니다.
*법이란 무엇일까요? 부처님의 말씀은 광범위한 의미가 함축된 법입니다. 따라서 법의 의미 는 어느 말이 관련되느냐에 따라 제약을 받습니다. 만일 그렇지 않은 경우 의미는 퇴색될 수 있습니다.
법의 핵심적 의미는 영혼도 생명도 없다는 것입니다. 사람들은 우리의 본성을 영혼과 생명이 있는 것으로 여깁니다. 이러한 생각이 잘못된 것임을 아는 것은 무척 중요합니다. 법의 정의나 의미는 여러 가지 입 니다. 서로 관련이 있는 본성은 진실을 담고 있습니다. 이렇게 모든 선 업(善業)과. 불선업(不善業), 행위의 결과, 개념과 열반 또한 법에 포함 됩니다.
모든 궁극적인 진리의 본성은 법에는 포함되지만, 어떤 것은 'Dhammamsaranamgacchami'의 법에 포함되지 않습니다. 이런 경우 자칫 내가 불선업(不善業)의 법에 귀의하는 것 같이 여겨질 수도 있습 니다. ‘Dhammamsaranamgacchami’는 네 가지 길(道), 네 가지 과(果), 그리고 열반을 의미합니다. 진리의 본성을 지킨다는 것은 법을 지키거 나 법을 만드는 사람은 네 가지 악처에 다시 태어나지 않고 자신을 보 호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입니다. 도(道)와 과(果)를 얻고 열반 을 성취한 사람은 4가지 악처(惡處)에서 태어나지 않습니다. 법의 근원 은 ‘Dhammamsaranamgacchami’이며, 다른 법도 도(道), 과(果), 그리 고 열반에 이르게 하면 ‘Dhammamsaranamgacchami’ 에 포함됩니다. 여러분들은 이러한 내용을 잘 이해하셔야 합니다.
법에 대한 관찰에서는 물질뿐만 아니라 또한 마음도 언급됩니다. 부처 님께서는 법에 대한 관찰의 중요성에 대해 다섯 장에 걸쳐서 말씀하셨 는데, 일상생활에서 사람들은 어떤 것이 중요한지 아닌지를 언제나 판 단해야 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. 그리고 본성에 또한 이처럼 언제나 옳 고 그름을 판단해야 합니다. |
|
![]() |
첨부파일이 없습니다. |
다음글 : 모든 분들을 위한 사띠파타나 |
이전글 : 마음에 대한 관찰(3) |